"밤 10시, 사람이 불쑥...... 자율주행차는 그냥 들이받았다 (2018. 03. 21) 조선일보 강동철 기자"를 읽고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본다. 자율주행자동차에 관심이 많으며, 특히 안전을 위한 사람, 차선, 장애물 인식 등 사물인식에 집중하고 있다. 자율 주행차의 사고 소식이 안타깝고, 상용화 되었을 때의 문제가 무엇일지, 어떤 해결 방법이 있을지 생각해보고 싶었다. 공유 경제를 대표하는 최대 차량 공유 업체 우버. 우버의 자율 주행 자동차가 미국 애리조나에서 40대 여성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한 사고가 발생했다. 보행자 사망 사고는 이번이 처음으로, 안전을 자신하며 상용화를 추진하던 업계들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번 사건을 단순히 자율주행차량으로 인한 사망사건으로만 여긴다면, 기존의 신문 기사들과 블로그의 스크랩만을 보아도 충분하다. 하지만, 기술의 진보로 인한 편리함을 지지하는 사람, 과학 기술의 발전 방향에 관심있는 사람은 이 사건이 의미하는 바를 조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자율주행자동차 회사가 입는다는 그 타격에 대해 좀 더 생각해보자. 출처 : https://electrek.co/2018/03/19/uber-self-driving-prototyp-fatal-crash-police/ 우버의 자율 주행 택시 운행 중단 우버는 사고 후 북미 지역에서 진행하던 자율 주행차 시험과 자율 주행 택시 운행을 전면 중단하였다. 누구나 인지가능한 표면적인 문제이지만, 시험 운행을 할 수 없으면 다양한 도로 상황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가장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이 조치의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면, 시험을 못하게 된 것은 단순히 우버가 추진하던 사업이 잠시 중단된 것뿐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는 집 앞 슈퍼마켓에서 팔던 과자가 한달간 생산 중지된 것과 다르지 않다. 굳이 실제 상황에서의 학습이 필...
Comments
Post a Comment